'오징어 게임'으로 인한 OTT 시장의 활기 - 라이브피어(LPT) 전망

휴미니어

·

2021. 10. 15. 11:54

728x90

라이브피어 오징어게임

 

안녕하세요!

휴미니어입니다.

 

 

OOT 시장은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확장으로 인해

급격히 점유율을 확대해 나가며

넷플릭스는 2020년 12월 OTT 최초로 전 세계 가입자 수 2억명을 돌파하게 되었던 기록이 있습니다.

 

 

https://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20/12/24/2020122400742.html

 

 

시장이 크게 성장하다보니

쿠팡도 2020년 12월 OTT 시장에 본격 진출하게 되며

'쿠팡플레이'를 출범하기도 하였습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 즐거움을 줄 수 있는 콘텐츠가 부족해지고

위드코로나의 영향으로 인해 추가적인 가입자가 발생하지 않는 현상이 있었습니다.

 

 

 

'오징어 게임'으로 인해 OTT 시장 활기

 

 

http://www.newscj.com/news/articleView.html?idxno=911478

 

 

하지만

오징어게임이 전세계적으로 흥행에 성공하면서

OTT 시장에서 콘텐츠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이 되고 있습니다.

기존에 없던 이야기 거리와 소재가 성공을 이루게 된 것이죠.

그러다 보니 넷플릭스의 한국 콘텐츠 투자액은 매년 증가하는 수치가 나오게 되었습니다.

2016년 150억원

2017년 819억원

2018년 920억원

2019년 2480억원

2020년 3331억원

2021년 5540억원

 

 

 

 

http://www.newscj.com/news/articleView.html?idxno=911478

 

 

특히 오징어게임은 저비용 고효율에 주목하고 있죠.

넥플릭스에서 오징어게임에 254억원을 투자해서

회당 비용은 약 240만 달러로 과거 넷플릭스 흥행작들과 비교하면 극히 적은 금액입니다.

그러나 흥행은 역대 최고 기록이죠.

 

 

 

 

이제는 디지니까지 '디지니플러스'를 출시하며

국내 OTT 서비스 시장으로 들어오게 되었습니다.

디지니의 자본력으로 국내 OTT 기업들이 어떻게 살아남을지

콘텐츠의 경쟁도 있겠지만 가격적인 경쟁도 분명 생길 수 밖에 없겠죠.

 

 

 

라이브피어(LPT) OTT 시장의 경쟁력

 

결론적으로 말씀 드리자면

라이브피어는 스트리밍 비용을 줄일 수 있는 기술을 가지고 있습니다.

 

 

https://livepeer.org/ko/primer

 

 

동영상은 스트리밍 비용이 막대하고 

라이브 스트리밍을 할 경우 훨씬 더 많은 비용이 들게 됩니다.

그 이유는 인터넷에 동영상을 배포하려는 브로드캐스터는 먼저 동영상을 변환해야 하기 때문이죠.

 

 

https://livepeer.org/ko/primer

 

라이브피어는 웹사이트에 가시면

한국어로 자세히 설명이 되어 있습니다.

읽어 보시길 권장 드리립니다.

 

 

https://www.digital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411637

 

 

라이브피어는 그레이스케일 포트폴리오 중 하나이기도 하여

제가도 신뢰하고 있는 코인중에 하나 이기도 합니다.

더블록에서 시리즈 B 투자 라운드를 통해

2000만달러 규모 자금도 유치하기도 했습니다.

저렴하면서도 탈중앙화된 방식으로

영상을 트랜스코딩할 수 있도록 하는 플랫폼을 제공하는 것에 대한 기술력을 인정받은 것이죠.

 

 

 

 

 

일봉 차트로도 보시면 

그간의 저항을 돌파해주며 일봉상 상승흐름을 전환된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차트에 표시된 저항선을 기준으로

70,000원 근처까지 노려볼만하다고 생각이드네요.

 

 

궁금하신 사항 있으시면

댓글 남겨주세요!

 

'구독'과 '좋아요'도 부탁 드려요!

 

 

 

함께 보면 좋은 글

 

2021.07.08 쎄타토큰, NFT코인 대장 - 이평저항 매매

 

쎄타토큰, NFT코인 대장 - 이평저항 매매

안녕하세요! 휴미니어입니다. 비트코인은 바이낸스 차트 기준으로 6/13~6/14일 25선 이평돌 돌파해주며 상승으로 전환시도를 하였지만 실패하였고 28800 달러의 저점을 찍고 나서 현재 2번의 이평

crpytoinfokorea.tistory.com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