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5hOJY%2FbtqT17eI773%2FeV0ar3gOhMJvq5dEJr7Pck%2Fimg.png)
2021년 암호화폐 상승 메타 분석_NFT(대체불가토큰) 전망 :: 엔진코인 주도 상승(feat. 다음 펌핑은 샌드박스??)
휴미니어
·2021. 1. 20. 13:46
안녕하세요!
휴미니어입니다.
최근 암호화폐 관련 기사를 보시면
'비트코인이 4000달러 5000달러를 간다'
'이더리움이 비트코인 시총을 넘어간다' 등등
이미 과하게 상승한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에 대해서 많은 소식을 볼 수 있습니다.
'인플레이션'이라는 표현도 지난 포스팅에서 언급했는데요.
여기에 위험관리를 위해서는
최근 메이저 코인들과 비트코인, 이더리움에 대한 수익률 일부분을
현금화 해 놓을 필요가 있습니다.
더 장기투자 관점으로 가져가실 분들은
제가 포스팅에서 언급하였던 코인들 위주로
더 추매를 하며 기다리셔도 됩니다.
하지만 오늘 소개해드릴 내용은
2021년의 상승메타의 주인공이 될 가능성이 높은
NFT(대체불가토큰)에 대해서 말씀드리고자 합니다.
2020년 '코인지식창고 #1'에서 이미 말씀을 드렸지만
이번 포스팅에서는 더 구체적인 NFT 관련 시장상황 및 전망을 다루고자 합니다.
아래 포스팅을 통해서 NFT 기본 개념과 관련 내용을 미리 숙지하시고 아래 내용을 읽어보세요!
[코인지식창고 #1] NFT(Non-Fungible Token)는 무엇인가??
안녕하세요! 휴미니어입니다. 최근 블록체인 게임관련 기사들을 보시다보면 블록체인 기술인 NFT를 활용한 게임을 개발할 것이라는 기사를 보실 수 있습니다. 또한 게임 업계에서는 블록체인
crpytoinfokorea.tistory.com
바이러스 같이 돈 되는 것은 너도나도 적용_Defi 사례 확인
작년을 되돌아 볼까요??
2020년 De-fi(탈중앙금융)의 해였고
전통적은 금융시스템에서 벗어나게 해주는 기술에 주목했었죠.
그리고 작년 12월 기준 각종 디파이 상품에 예치된 자금은
총 140억달러(한화 약 15조원)로
지난해 6월 10억달러 수준이던 시장 규모가 반년만에 10배로 성장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모방 이슈들도 많이 생겨나게 되었고
114개의 프로젝트만큼 수가 많아 졌습니다.
디파이의 성장만큼 파생되는 다양한 프로젝트들이 나오게 됬죠.
마치 처음에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리플 이오스와 같은 코인들이 생기고 나서
수 많은 잡알트코인들이 생성된 것과 유사하죠.
바이러스 같이 돈 되는 것은 너도나도 적용_NFT 관점
NFT(대체불가토큰) 시장을 한번 봐 볼까요??
NFT는 지난 포스팅에서도 말씀 드렸지만
특히 지난해까지 게임시장을 주로 해서 규모를 확장하고 있었죠.
뉴스내용에 따르면 NFT 거래량이
7,800만 달러(한화 약 900억)를 기록하며 전년 대비 785% 증가하였습니다.
또한 블록체인 게임 내에서 발생한 거래량은
5,400만 달러(약 600억)로 전년 대바 191% 증가하였다고 합니다.
즉, NFT 테마에서 게임산업 규모만 본다면 2/3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나머지 1/3의 부분에서는 예술분야에 NFT 기반 기술이 도입 되고 있습니다.
기사 내용에 따르면 예술품이 작년 대비 3배 이상 되는 거래량을 보여주고 있네요.
번외로 NFT 시장이 작은 것에도 예민하게 반응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는 부분이
바로 마마루 NFT 출시 예정 보도 내용이었습니다.
결과적으로 NFT 기술을 통해서 마마무 아티스트 플랫폼 출시는 사실이 아닐지라도
시장에서 매우 민감하게 NFT 적용사례를 주시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이런 시장 변화에 따라서 코인들의 NFT 기술 도입과 NFT를 거래소에 상장 또는 설립하는 흐름이 나오고 있습니다.
거래소와 코인들은 또 다른 파동을 준비하고 있는 것이죠.
기사에 따르면 쿠코인(거래소 순위 8위, 하루 거래량 1200억 규모)이
NFT 시장을 노리며 NFT 거래소를 설립하게 되었습니다.
일본에서는 NFT 마켓을 준비 중인 코인체크가
더 샌드박스의 토큰 랜드와 엔진을 NFT 파트너로 제휴하였다고 하네요.
코인원의 경우 멀티 게임 플랫폼 러쉬코인(RUSH) 상장하며
NFT 기술 변화에 따라가려는 움직임을 보여주네요.
테조스의 경우에도 NFT 플랫폼을 출시한다고 합니다.
그리고 탈중앙화 보험 NFT 발행 및 경매 플랫폼 크로스는
후오비 에코체인(Heco)를 상장하였다고도 하구요.
시장에서 변화가 보이시나요??
거래소 및 코인들이 변화하는 또 다른 기술적용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그럼 언제쯤 NFT 기술이 상용화가 되며 상승이 올까요??
일본 NFT 제도권 진입 + 엔진코인 상승 :: NFT 시장 상승 전망
게임분야가 확실히 NFT 기술의 전반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이쪽 시장의 규제와 시장진입 사항을 집중해야 합니다.
우선 코인지식창고 #1편에서도 언급하였지만
대표적으로 2017년 11월 출시된 '크립토키티, 가상 고양이 육성 게임' 의 성공 사례로
아래와 같은 NFT 게임 관련 코인들이 있습니다.
- 디센트럴랜드 : 이용자가 직접 아바타를 설정해 가상현실을 탐험하는 VR 게임
- 샌드박스 : NFT를 활용해 자신만의 가상 공간과 아이템을 제작하는 게임
- 플레이댑 : 개인간(C2C) 마켓플레이스를 제공하는 dApp 게임 포털
- 위믹스 : 대규모 게임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하이브리드 구조의 멀티체인 기반 게임 플랫폼
여기에 최근 NFT 과 관련하여 펌핑이 오게 된 엔진코인(ENJ) 을 주목하셔야 겠죠.
저점 대비 약 200% 상승하였습니다.
향후 일본 가상화폐 거래소 이외에도 게임코인으로 승인 되는 곳이 연쇄적으로 생기겠죠?!
업비트 공시내용에도 JVCEA(일본 가상화폐 거래소 협회)에서 게임코인으로 최초 승인한 내용이 있습니다.
그리고 아래 캡쳐된 기사내용에도 NFT 사업을 위해 일본에 입성하였다고 합니다.
그리고 주목해야 될 내용이 코인체크는 2021년 신규 사업으로 IEO와 NFT 마켓 추친을 천명했을 때 더 샌드박스의 랜드와도 NFT 마켓으로 제휴하였다고 하네요. 그리고 현지에서 랜드와 엔진코인이 화이트 리스트 코인이 될 것이라는 얘기도 있었구요.
이를 위해서 일본은 NFT 제도권 진입을 위해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려고 하고 있습니다.
기사 내용을 참조하면 옥토패스를 통한 NFT 기술 표준화, '블록체인 콘텐츠 협회 지침'을 중심으로 NFT의 가이드를 만들어 최종적으로 자금 결제법에 NFT를 포함하려는 의도를 가지고 있다고 합니다.
앞으로 엔진코인 이외에도 다양한 NFT 기술을 가진 게임코인들의 시장 진입에 관심을 가져야 겠네요.
그 중에서 샌드박스(SAND) 빗썸에 상장되어 있습니다.
현재 40선에서 하방지지를 유지해주고 있는 모습이고
정배열을 만들어주는 모습이 주목할 만하네요!
또한 아래 포스팅 내용을 보시면
업비트 BTC 에서 원화 상장 전략도 있을 수 있으니
주목해 볼만 하네요!
빗썸 신규코인 분석 2편, 업비트 원화 상장 급등 코인은??
안녕하세요! 휴미니어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최근 상승장에서 저만의 투자관점에 대해서 글을 남겨드리고자 합니다. 아래 링크 된 '빗썸의 신규코인들의 상승흐름' 글을 1편이라고 정의한
crpytoinfokorea.tistory.com
성투하세요!
'[휴미니어] 코인 투자 방법 > 코인 투자 기본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인 시장에서 기관투자자유입이 뜻하는 의미는 무엇일까??(feat. 블랙록, S&P, 골드만삭스) :: 현재 비트코인 하락 의미 (2) | 2021.01.28 |
---|---|
드디어 비트코인 폭락!! 예상된 결과 :: 도미넌스 하락 = 공포&탐욕 지수 하락(feat. 재닛옐런 한 마디 비트코인 폭락, 170조 증발) (2) | 2021.01.22 |
인플레이션 헤지수단 = 비트코인?! :: 위험관리 편(feat. CBDC, 이더리움, 오미세고) (4) | 2021.01.18 |
비트코인 도미넌스의 하락 :: 건강한 조정 = 물량넘겨주기, 알트코인 1000% 이상 상승률 나올 것 (2) | 2021.01.12 |
어떤 코인이 장투해도 괜찮을까?? :: 코인 등급 확인하기 (1) | 2020.1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