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메타버스ETF 붐 - 반등이 좋은 메타버스 코인들 포스팅 썸네일 이미지

[휴미니어] 코인 투자 방법/NFT 관련 코인 분석

한국의 메타버스ETF 붐 - 반등이 좋은 메타버스 코인들

작년 메타버스 붐이 일어나며 메타버스 관련된 ETF 상품들이 출시가 되었습니다. 특히 한국에서는 K-팝이 흥행을 하며 NFT 관련된 투자 소식도 쏟아져 나오며 ETF 열풍을 부추겼었죠. 하지만 KODEX K메타버스 액티브 ETF 수익률을 보시면 2021년 11월 최고 15,000원 수준에서 1월에 9700원 최저를 찍으며 올해 하락 기조를 유지해 오고 있습니다. 인기는 높아졌는데 수익률은 저조합니다. 그렇다고 향후 인터넷을 대체할 수 있는 투자처이기에 전망은 나쁘지 않아 보이죠. 항상 중요한 것은 투자 시기라고 보입니다. 누가 보아도 ETF 내의 방탄소년단 소속사인 하이브와 게임회사 펄어비스가 전망이 나쁘다고 말할 수 있는 사람들이 있을까요? NFT 및 메타버스 산업에 대한 투자는 늘어나지만 어떻게 투자..

2022.02.16 게시됨

러시아 우크라이나 사태 -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비트코인 시세 분석 포스팅 썸네일 이미지

[휴미니어] 코인 투자 방법/비트코인 시세 분석

러시아 우크라이나 사태 -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비트코인 시세 분석

지속적으로 말씀 드렸지만 CPI 지수 발표후 비트코인의 조정 가능성을 계속 언급해 드렸습니다. 비트코인이 소비자물가지수가 예상치보다 높게 나오며 1982년 2월 이후 최고치인 7.5%를 기록하였습니다. 그리고 발표 직후 45,000달라에서 하락하며 43,500달라까지 바닥을 찍은 후 회복하려는 훼이크를 주었지만 다시 하락하며 비트코인이 43,000달라도 무너질 듯해 보입니다. 10년물 국채금리도 2% 돌파하며 연준의 과도한 긴축에 대한 시장의 불안감으로 위험자산들을 하락하게 만들었습니다. 미국 증시도 비트코인과 같은 움직임을 보이며 나스닥의 경우 -2% 하락으로 마감하였습니다. 미국과 유럽에서 마스크 착용 의무화 조치를 폐지하려는 움직임이 확산하면서 공급망 이슈가 해결될 거라는 기대감으로 인플레이션이 완..

2022.02.14 게시됨

비트코인 시세 분석 - 연준 1월 FOMC 정례회의 포스팅 썸네일 이미지

[휴미니어] 코인 투자 방법/코인 투자 기본서

비트코인 시세 분석 - 연준 1월 FOMC 정례회의

안녕하세요! 휴미니어입니다. 증시의 변동성 확대 - FOMC 및 실적발표 일정 전세계 자산시장에는 금리인상으로 공포에 휩싸여 있습니다. 아래 기사 내용만 단순히 보아도 추가하락에 대한 경고성 글들이 즐비해 있습니다. 메타버스나 NFT 관련되어 주식 유투브에서는 계속 좋은 전망만 내놓았습니다. 그리고 빚까지 내며 투자하신 분들도 있으시겠죠. 여기서 신용을 쓴 상태에서 주가가 단기간 20~30% 급락해 담보유지비율 아래로 주식 평가금이 떨어지게 되었을 때 입금이 이뤄지지 않는다면 청산을 당할 수 있는 최악의 시나리오도 보이네요. 많은 사람들이 미국 FOMC의 회의 결과와 실적발표를 기다리시고 계실 거라고 생각이 듭니다. FOMC 회의 때 금리인상을 1월에 한다는 언급이 나온다면 추가적인 급락이 나올 수 있는..

2022.01.24 게시됨

비트코인 반등 시나리오 - 국제 정세 불안(미국 우크라이나 vs 러시아, 대만 vs 중국) 포스팅 썸네일 이미지

[휴미니어] 코인 투자 방법/코인 투자 기본서

비트코인 반등 시나리오 - 국제 정세 불안(미국 우크라이나 vs 러시아, 대만 vs 중국)

안녕하세요! 휴미니어입니다. 국제 정세에 따라서 비트코인의 역할이 달라지기도 합니다. 비트코인은 최근 위험자산인 주식과 비트코인의 커플링이 강화되며 동반 상승과 동반하락을 하기도 하였습니다. 그러나 그와 반대로 디커플링되는 현상도 있죠. 오늘은 국제 정세에 따라서 비트코인이 디커플링 될 수 있는 현상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러시아 우크라이나 침공? 올해 들어 가장 불안 요소로 손꼽히는 것이 인플레이션이기도 하지만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군사충돌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는 점이 불확실성을 증폭시키는 요인으로 볼 수 있습니다. 2014년 우크라이나 크림반도를 무력으로 합병한 러시아는 지난 연말부터 우크라이나 국경에 10만명 이상의 병력을 배치하며 긴장감을 높여왔습니다. 또한 1.19일 기사 내용에 따르면..

2022.01.20 게시됨

728x90
반응형